# Private Network
## 개요
### PN
사설망. 물리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범위.
LAN 범위라고 생각하면 된다. 완전히 개방된 [[Public Network]]과는 다르게 보안성이 보장됨
***
## PN에서 VPN로 연결
한 기업의 상황을 예시로 PN의 한계와 VPN 개념 연결까지 들어가보자.
* **기업 성장 상황**
* 서울 본사: DB 서버 + 직원 200명 + 사설망 구성 완료
* 부산 지사 설립 → 서울 DB에 안전하게 접근해야 함
* **PN 확장 시도**
- 방법 1: 전국에 랜선 직접 설치 → 현실 불가능
- 방법 2: KT 같은 ISP에게 요청해 특정 전용 회선을 임대 (PN의 물리적 확장)
* 예시 비유: 영화관 좌석을 전부 구매해서 ‘혼자 쓰는 전용 공간’ 구성
* 단점: 비용이 매우 높음 (월 1000만원 이상), 속도도 제한적
* **VPN을 활용한 확장 시도**
* VPN은 퍼블릭 네트워크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지만, 프라이빗한 논리적 통신 구조를 흉내내는 기술
- PN 수준의 보안성과 통제성을 확보하면서도
- 인터넷 수준의 저비용, 고속 연결성을 가져가기 위함
> 📌[[VPN (Virtual Private Network)]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