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# **Ingress & Egress** * **Ingress** * 특정 네트워크 장비(라우터, 스위치 등)의 인터페이스로 **들어오는 트래픽** * **Egress** * 특정 네트워크 장비(라우터, 스위치 등)의 인터페이스에서 **나가는 트래픽** --- ## **Inbound & Outbound** * **Inbound** * 외부에서 내부로 **들어오는 트래픽** * **Outbound**: * 내부에서 외부로 **나가는 트래픽** --- ## **차이점** > [!attention] 이해를 돕기 위해 > 이 문서에서 나오는 네 가지 용어들을 깊게 이해하고자 서로의 차이점을 만들어 보았습니다. 그래서 내용이 잘못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.. * **Ingress & Egress** * 특정 장치의 인터페이스로 들어오거나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 * 라우터와 같은 특정 장비의 포트를 통해 들어오거나 나가는 트래픽의 **물리적/기능적** 흐름의 의미가 강조된다 * 예, ISP에서 받은 패킷이 라우터로 들어오는 경우. 라우터에서 스위치로 트래픽을 전달하는 경우 * **Inbound & Outbound** * 네트워크 내부로 들어오거나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. 네트워크의 내부와 외부를 나누는 경계 지점은 대표적으로 Firewall, Router, GW와 같은 것을 예로 있을 수 있다 * 네트워크의 외부와 내부를 결정하는 보안 경계 지점 혹은 트래픽 흐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트래픽으로서 **보안 정책적인 의미**가 강조된다 * 예, 사용자가 웹 서버(80번 포트)로 요청을 보낼 때. 구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HTTPS 응답을 보낼 때 --- ## **관련 기술** 해당 용어가 사용되는 관련 기술 * **Ingress & Egress** * QoS, Traffic Shaping, Rate Limiting * **Inbound & Outbound** * 방화벽 정책, [[ACL (Access Control List)]] ---